#천자문 5  #어문회 5급  #대한검정회 4급  #중등교육과정 
부수
획수
13
잎 엽, 땅 이름 섭, 책 접
나무잎(枼) 위로 새 잎(艹)이 또 자라나는 모습 → 나뭇잎

사용단어 34

침엽수(針葉樹) : 「명사」『식물』잎이 침엽으로 된 겉씨식물. 대체로 상록 교목으로 구과(毬果)를 맺으며 재목은 건축재나 토목재로 쓴다. 온대 북부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약 500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소나무, 잣나무, 향나무 따위가 있다.
지엽(枝葉) : 「명사」식물의 가지와 잎.
말엽(末葉) : 「명사」어떠한 시대를 처음ㆍ가운데ㆍ끝의 셋으로 나눌 때 그 마지막 부분을 이르는 말.
활엽수(闊葉樹) : 「명사」『식물』잎이 넓은 나무의 종류. 떡갈나무, 뽕나무, 상수리나무, 오동나무 따위가 있다.
태엽(胎葉) : 「명사」얇고 긴 강철 띠를 돌돌 말아 그 풀리는 힘으로 시계 따위를 움직이게 하는 장치.
중엽(中葉) : 「명사」어떠한 시대를 처음ㆍ가운데ㆍ끝의 셋으로 나눌 때 그 가운데 부분을 이르는 말.
엽록소(葉綠素) : 「명사」『식물』빛 에너지를 유기 화합물 합성을 통하여 화학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녹색 색소. 광합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빛에서 에너지를 흡수하며 이산화 탄소를 탄수화물로 전환시킨다. 녹색식물, 조류(藻類), 광합성 박테리아 따위의 광합성을 하는 모든 생물체에 나타난다.
엽서(葉書) : 「명사」『서비스업』규격을 한정하고 우편 요금을 냈다는 표시로 증표(證標)를 인쇄한 편지 용지.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에서 발행하며 통상 엽서, 왕복 엽서, 봉함엽서 따위가 있다.
활엽(闊葉) : 「명사」『식물』넓고 큰 잎사귀.
가엽(柯葉) : 「명사」식물의 가지와 잎.
고엽(枯葉) : 「명사」마른 잎.
엽탁(葉托) : 「명사」『식물』잎자루 밑에 붙은 한 쌍의 작은 잎. 눈이나 잎이 어릴 때 이를 보호하는 구실을 한다. 쌍떡잎식물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종에 따라 외부 형태, 조직 구조, 발생 위치, 수 따위가 다르다.
엽연초(葉煙草) : 「명사」잎사귀를 자르지 아니하고 그대로 말린 담배.
자엽(子葉) : 「명사」『식물』씨앗의 움이 트면서 처음 나오는 싹.
탁엽(托葉) : 「명사」『식물』잎자루 밑에 붙은 한 쌍의 작은 잎. 눈이나 잎이 어릴 때 이를 보호하는 구실을 한다. 쌍떡잎식물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종에 따라 외부 형태, 조직 구조, 발생 위치, 수 따위가 다르다.
초엽(蕉葉) : 「명사」『건설』기둥이나 초벽에 단여(短欐)ㆍ선반 따위를 달 때 밑에 받친, 구름무늬가 새겨진 길쭉한 세모꼴의 널빤지.
소엽(小葉) : 「명사」작은 잎.
엽록체(葉綠體) : 「명사」『식물』식물 잎의 세포 안에 함유된 둥근 모양 또는 타원형의 작은 구조물. 엽록소를 함유하여 녹색을 띠며 탄소 동화 작용을 하여 녹말을 만드는 중요 부분이다. 이중 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투명한 스트로마와 동전을 쌓아 둔 모양의 그라나로 이루어져 있다.
복엽(複葉) : 「명사」『식물』한 잎자루에 여러 개의 낱 잎이 붙어 겹을 이룬 잎. 탱자나무, 아카시아 따위의 잎이다.
대엽성폐렴(大葉性肺炎) : 『의학』‘엽폐렴’의 전 용어.
소엽성폐렴(小葉性肺炎) : 『의학』허파를 이루는 대엽에는 염증이 퍼지지 아니하고 하나하나의 기관지에 대응하는 정도의 좁은 범위에 염증을 일으키는 가벼운 폐렴. 기침이나 가래도 비교적 적고 열도 높지 않은 편인데, 치료가 늦어지면 엽폐렴으로 진행하여 증상이 심하여진다.
고엽제(枯葉劑) : 「명사」『농업』식물의 잎을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는 약제를 통틀어 이르는 말. 잎을 제거함으로써 과실에 볕이 잘 들게 해서 빨리 익게 하거나 수확을 쉽게 하기 위하여 쓴다. 특히 베트남 전쟁 때에 미국이 밀림에 뿌린 2, 4-D 따위의 제초제를 가리킨다.
빈대엽(頻大葉) : 「명사」『음악』국악 가곡의 원형 가운데에 가장 빠른 곡. 우조(羽調), 계면조의 두 음계가 있고, 초삭대엽, 이삭대엽, 삼삭대엽, 편삭대엽의 네 가지 종류가 있다.
만엽(慢葉) : 「명사」『음악』국악 가곡의 원형 가운데 아주 느린 곡. 현행 가곡의 모체로 알려진 조선 성악곡의 하나로, 고려 향악곡인 의 삼기곡(三機曲)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점차 빠른 노래와 악곡을 좋아하게 되면서 17~18세기에 없어졌다.
재출우상복엽(再出羽狀複葉) : 『식물』겹잎의 하나. 잎자루가 한 번 깃 모양의 가지를 내고, 그 각 가지마다 양쪽에 작은 잎들이 벌여 달려서 깃 모양을 이룬 겹잎을 이른다. 고비의 잎, 자귀나무의 잎 따위이다.
가섭암지마애삼존불상(迦葉庵址磨崖三尊佛像) : 『불교』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마애 불상. 본존불은 둔중하고 토속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얼굴은 넓적하고, 신체의 표현은 약하다. 발은 발꿈치를 맞대고 발끝을 양쪽으로 벌리고 있다. 양쪽의 협시 보살도 본존불과 비슷한 형식으로 조각되어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거창 가섭암지 마애여래 삼존 입상’이다.
가엽포(茄葉包) : 「명사」가지의 잎을 쪄서 밥을 싸 먹는 쌈.
간소엽(肝小葉) : 『의학』간을 둘러싸는 결합 조직의 피막이 간문맥, 간동맥, 쓸개관과 함께 간 속으로 들어가 간 조직을 약 100만 개로 나눈 다면체 기둥. 이것은 간의 조직학적 단위이며, 간정맥의 가지인 중심 정맥 주위에 간세포가 배열되며, 간 소엽의 가장자리에 간문맥, 간동맥, 쓸개관의 종말 가지가 위치한다.
거창가섭암지마애여래삼존입상(居昌迦葉庵址磨崖如來三尊立像) : 『불교』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마애 불상. 본존불은 둔중하고 토속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얼굴은 넓적하고, 신체의 표현은 약하다. 발은 발꿈치를 맞대고 발끝을 양쪽으로 벌리고 있다. 양쪽의 협시 보살도 본존불과 비슷한 형식으로 조각되어 있다. 보물 제530호.
경근막추전엽(頸筋膜椎前葉) : 『의학』경근막 중 척주와 척추뼈 몸통의 앞 및 가쪽 근육을 함께 둘러싸는 층.
경엽수(硬葉樹) : 「명사」『식물』온대 지방에서 자라는 상록의 교목과 관목을 통틀어 이르는 말. 나무줄기는 두꺼운 껍질이나 코르크에 의하여 보호되고, 내건성(耐乾性)이 강하다. 올리브, 코르크나무, 소나무, 유칼립투스, 남아프리카의 식나뭇과 식물 따위이다.
계엽(季葉) : 「명사」어떠한 시대를 처음ㆍ가운데ㆍ끝의 셋으로 나눌 때 그 마지막 부분을 이르는 말.
계엽수(桂葉水) : 「명사」『한의』월계수의 잎을 증류하여 얻어 낸 액체. 진통제로 쓴다.
고엽작전(枯葉作戰) : 『군사』정글이나 삼림 지역 같은 곳에 화학 약품을 뿌려 나무를 말라 죽게 하여 적의 은신처를 없애려는 작전. 미군이 베트남 전쟁에서 실시한 정글 작전 가운데 하나였다.

이런 한자도 공부해 보세요

이시간 주요 뉴스

청년 예술인 시각으로 전통 재해석…정동극장 '청춘만발'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국립정동극장의 청년 전통공연예술 창작인큐베이팅 사업 ‘청춘만발’이 오는 8월 12일부터 22일까지 국립정동극장 세실에서 펼쳐진다. ‘청춘만발’은 올해로 9

#생활/문화 , #이데일리 , 7월 18일
안랩, 임직원 대상 '복날 이벤트' 실시

[이데일리 최연두 기자] 안랩(053800)은 오는 20일 초복과 30일 중복을 앞두고 자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복날 이벤트’를 18일부터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임직원의

#IT/과학 , #이데일리 , 7월 18일
방탄소년단, 400만 관객 열기 담았다…‘PTD’ 투어 라이브 앨범 출시

(MHN 권나현 인턴기자)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콘서트의 감동을 담은 첫 공연 라이브 앨범을 발매한다. 소속사 빅히트뮤직에 따르면, 방탄소년단은 18일 오후 1시 라이브 앨범

#연예 , #MHN스포츠 , 7월 18일
[K리그1 프리뷰] 안데르손 이탈→'폭풍 영입' 수원FC, 상승세 광주 상대 분위기 전환할까

(MHN 최준서 인턴기자) '폭풍영입'으로 전력을 보강한 수원FC가 좋은 흐름을 탄 광주를 만난다. 수원FC와 광주FC는 18일 오후 7시 수원종합운동장에서 열리는 '하나은행 K리

#스포츠 , #MHN스포츠 , 7월 18일
엘앤에프, ‘K-LFP 최대 수혜주’ 평가 속 7%대 강세[특징주]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엘앤에프가 미국 내 비중국산 LFP 배터리 수요 증가에 가파른 매출 증가세를 나타내리란 증권가 전망에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18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엘앤

#주식 , #이데일리 , 7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