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
火
17
火
┃
획수17
營
일터(宮)에 불(火)을 켜고 밤새 일함 → 경영하다
사용단어 41
운영(運營) : 「명사」조직이나 기구, 사업체 따위를 운용하고 경영함.
경영(經營) : 「명사」기업이나 사업 따위를 관리하고 운영함.
진영(陣營) : 「명사」정치적ㆍ사회적ㆍ경제적으로 구분된 서로 대립되는 세력의 어느 한쪽.
영양(營養) : 「명사」『생명』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지와 몸을 구성하는 성분을 외부에서 섭취하여 소화, 흡수, 순환, 호흡, 배설을 하는 과정. 또는 그것을 위하여 필요한 성분.
영업(營業) : 「명사」다른 사람들을 자신들의 팬덤으로 영입하기 위한 팬들의 활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영자(經營者) : 「명사」『경영』기업이나 사업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람이나 기관.
영양사(營養士) : 「명사」면허를 가지고, 과학적으로 식생활의 영양에 관한 지도를 하는 사람.
공영방송(公營放送) : 『매체』이윤 추구를 직접적인 목적으로 하지 않고 공공의 이익을 도모하는 방송. 또는 그 기관. 상업 광고를 하지 않으며, 시청료를 주요 재원으로 삼는다.
경영진(經營陣) : 「명사」기업체나 사업체의 관리와 운영을 맡아서 하는 사람들의 조직.
영리(營利) : 「명사」재산상의 이익을 꾀함. 또는 그 이익.
국영(國營) : 「명사」나라에서 경영함. 또는 그런 방식.
영위(營爲) : 「명사」일을 꾸려 나감.
영양소(營養素) : 「명사」『생명』성장을 촉진하고 생리적 과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영양분이 있는 물질. 고등 동물에서는 탄수화물ㆍ지방ㆍ단백질ㆍ비타민ㆍ무기질 따위가 있고, 고등 식물에서는 질소ㆍ칼륨ㆍ인 따위가 있다.
자영업(自營業) : 「명사」자신이 직접 경영하는 사업.
영창(營倉) : 「명사」『군사』법을 어긴 군인을 가두기 위하여 부대 안에 설치한 감옥.
관영(官營) : 「명사」국가 기관에서 경영함.
통영시(統營市) : 「명사」『지명』경상남도 남해안 중앙부에 있는 시. 한려 해상 국립 공원의 중심지이며 원근해 어업 기지가 있는 항구 도시로, 갓과 나전 칠기가 유명하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충무시와 통영군이 합쳐져 신설되었다. 면적은 239.85㎢.
조영(造營) : 「명사」집 따위를 지음.
경영권(經營權) : 「명사」『경영』기업가가 자신의 기업체를 관리ㆍ경영하는 권리. 기업가가 가지는 기본적인 권리로, 법률로 규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재산권의 하나로 보기도 한다.
감량경영(減量經營) : 『경영』불황을 이겨 내기 위하여 기업 규모를 알맞게 줄여 경영하는 방식.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경비의 절감, 인원의 축소, 설비 투자의 억제, 재고 및 차입금의 축소 따위가 있다.
영양분(營養分) : 「명사」영양이 되는 성분.
경영난(經營難) : 「명사」기업이나 사업을 관리ㆍ운영해 나가는 데에 생기는 어려움.
민영화(民營化) : 「명사」관에서 운영하던 기업 따위를 민간인이 경영하게 함.
수영(水營) : 「명사」『역사』조선 시대에, 수군절도사가 있던 군영(軍營).
병영(兵營) : 「명사」군대가 집단적으로 거처하는 집.
직영(直營) : 「명사」특정한 기관 따위에서 일정한 사업을 직접 관리하고 경영함.
시영(市營) : 「명사」지방 자치 단체인 시(市)의 사업으로 경영하는 일. 또는 그 사업.
입영(入營) : 「명사」『군사』군대에 들어가 군인이 됨.
숙영지(宿營地) : 「명사」군대가 병영을 떠나 묵는 장소.
영양가(營養價) : 「명사」『식품』식품의 영양 가치. 영양소 1그램을 완전히 연소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열량으로 표시하는데 탄수화물은 4.15kcal, 지방은 9.3kcal, 단백질은 4.2kcal이다.
공영(公營) : 「명사」주로 공적인 기관에서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경영하거나 관리함. 또는 그렇게 하는 사업.
겸영(兼營) : 「명사」둘 이상의 사업을 같이 경영함.
영조(營造) : 「명사」 집 따위를 짓거나 물건을 만듦.
부영양화(富營養化) : 「명사」『지구』수질이 빈영양에서 부영양으로 변하는 일. 호수나 하천수의 식물 영양 염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변하게 된다.
영업소(營業所) : 「명사」영업 활동을 하는 장소.
강영영지(康營營誌) : 「명사」『책명』≪호남병영영지≫의 표지 이름.
강진전라병영성(康津全羅兵營城) : 『역사』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성동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성. 조선 태종 17년(1417)에 쌓은 평지성으로 아랫부분이 잘 남아 있다. ≪하멜 표류기≫를 쓴 네덜란드 선원 하멜이 효종 7년(1656)부터 현종 4년(1663)까지 7년간 머물렀다가 귀국한 곳이다. 남해안 지방에 남아 있는 병영 가운데에서 보존 상태가 가장 좋다. 사적 제397호.
건축경영(建築經營) : 『건설』건축과 관련하여 투자와 수익 관계를 합리적으로 추구하여 운영하는 일.
경산병영유적(慶山兵營遺蹟) : 『역사』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에 있는, 김유신의 군사 훈련 유적. 김유신이 압량주 군주로 있을 때 병사들을 이곳에 모아 군사 훈련을 하였던 장소로 추정된다. 압량리ㆍ선화리ㆍ내리ㆍ두룩산 유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적 제218호.
경영다각화(經營多角化) : 『경영』기업의 경영 활동을 여러 분야로 넓히는 일. 특정 부문의 사양화(斜陽化)에 대비하고 위험 부담을 줄이며 경영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경영분석(經營分析) : 『경영』기업의 경영 실태에 대한 분석. 재무제표나 기업 안팎의 여러 정보를 자료로 하여 기업의 경영 효율, 경제 성적, 재무 상태 따위를 분석ㆍ판단한다.
이런 한자도 공부해 보세요
沫
[ 물거품 말 ]
#어문회 1급
斫
[ 벨 작 ]
#어문회 준특급
扑
[ 칠 복, 칠 박 ]
#어문회 특급
吩
[ 분부할 분/뿜을 분 ]
#어문회 1급
扮
[ 꾸밀 분/거머질 분 ]
#어문회 1급
慤
[ 성실할 각 ]
#어문회 준특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