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4  #대한검정회 준1급  #어문회 2급  #1회 이상 출제 된 한자 
부수
획수
18
나라 이름 위, 빼어날 외
귀신(鬼)도 내버려둘만큼(委) 빼어난 대궐 → 나라이름, 빼어나다

사용단어 13

북위서(北魏書) : 「명사」『책명』중국 북제(北齊) 때에, 위수(魏收)가 황제의 명에 따라 편찬한 북위(北魏)의 사서(史書). 중국 이십오사(二十五史)의 하나로, 후위(後魏) 일대의 역사를 기전체로 기록하였다. 130권.
북위(北魏) : 「명사」『역사』중국 남북조 시대의 북조(北朝) 최초의 나라. 386년에 선비족(鮮卑族)의 탁발규가 화베이(華北)에 세운 나라로, 적극적인 중국 동화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반란이 일어나 534년 동위(東魏)와 서위(西魏)로 분열하였다.
위서(魏書) : 「명사」『책명』중국 북제(北齊) 때에, 위수(魏收)가 황제의 명에 따라 편찬한 북위(北魏)의 사서(史書). 중국 이십오사(二十五史)의 하나로, 후위(後魏) 일대의 역사를 기전체로 기록하였다. 130권.
후위(後魏) : 「명사」『역사』중국 남북조 시대의 북조(北朝) 최초의 나라. 386년에 선비족(鮮卑族)의 탁발규가 화베이(華北)에 세운 나라로, 적극적인 중국 동화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반란이 일어나 534년 동위(東魏)와 서위(西魏)로 분열하였다.
위지(魏志) : 「명사」『책명』중국 진(晉)나라 진수(陳壽)가 펴낸 삼국지의 하나. 중국 삼국 시대 위(魏)나라의 사서(史書)로, 촉지(蜀志)ㆍ오지(吳志)와 함께 삼국지라 불린다. 본기(本紀)는 4권, 열전(列傳)은 26권으로 표현이 간명하고 문장이 수수하다. 이 책의 은 우리나라의 고대사를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사료가 된다.
동위(東魏) : 「명사」『역사』중국 남북조 시대에, 북조의 북위가 동서로 나뉘었을 때의 동쪽 나라를 이르던 말.
서위(西魏) : 「명사」『역사』중국 남북조 시대에, 선비족(鮮卑族) 우문태가 535년에 세운 나라. 북위(北魏)의 동서 분열 이후 장안에 도읍하였으나 556년에 북주(北周)에 멸망하였다.
아위(阿魏) : 「명사」『식물』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는 살이 많고 처음에는 근생엽만 뭉쳐났다가 약 5년 후에 줄기가 난다.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근생엽은 매우 크고 잎자루가 있다. 노란 꽃이 복산형(複繖形) 화서로 피고 열매는 편평한 달걀 모양이다. 뿌리의 진은 약용한다. 이란, 아프가니스탄이 원산지이다.(Ferula scorodosma)
조위(曹魏) : 「명사」『역사』‘위’를 달리 이르는 말.
위궐(魏闕) : 「명사」궁문 밖 양쪽에 있는 누각.
위진남북조시대(魏晉南北朝時代) : 『역사』중국 역사상 후한(後漢)이 멸망한 해로부터 수나라가 천하를 통일하기까지의 시대. 220년에서 589년 까지로 삼국 시대, 서진의 통일 시대, 동진ㆍ오호 십육국 시대, 남북조 시대로 세분하기도 한다. 정치ㆍ경제ㆍ사회 분야는 혼란스러웠으나 사상이나 문학을 비롯한 예술 분야는 눈부시게 발전하였다.
상위(象魏) : 「명사」대궐의 문.
영도삼위(寧都三魏) : 『문학』중국 청나라 영도(寧都) 출신의 산문가인 위서(魏瑞), 위희(魏禧), 위례(魏禮) 삼 형제를 이르는 말.

이런 한자도 공부해 보세요

이시간 주요 뉴스

필리핀, 무슬림 친화 관광국 8위…"4계단 상승"

할랄 푸드를 먹고 있는 무슬림 여성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데일리 이민하 기자] 필리핀이 전 세계 관광지를 대상으로 순위를 매긴 ‘글로벌 무슬림 여행 지수(Global Musl

#생활/문화 , #이데일리 , 6월 29일
갤러리아백화점, 제임스펄스 첫 남성 단독 매장 오픈

[이데일리 한전진 기자] 갤러리아백화점은 지난 27일 서울 명품관에 직영 브랜드 ‘제임스펄스’의 국내 첫 남성 전용 매장을 열었다고 29일 밝혔다. 전 세계 매장을 통틀어 남성 제

#경제 , #이데일리 , 6월 29일
[프로필]행안부 장관 후보 윤호중 의원…원내대표 지낸 5선 중진

[이데일리 함지현 기자] 이재명 정부는 29일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로 임명했다. 윤 후보자는 원내대표를 지낸 5선의 중진 의원이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정치 , #이데일리 , 6월 29일
7년 만에 ‘300억’ 대박, 건물주 원빈 ‘절세도 OK’ [누구집]

[이데일리 홍수현 기자] 배우 원빈과 이나영 부부가 공동명의로 매입한 서울 강남구 청담동 건물의 가치가 7년 사이 287억 원이나 오른 것으로 추산됐다. 배우 원빈과 이나영 부부

#경제 , #이데일리 , 6월 29일
[부고] 김광국 씨(HD 현대스포츠 대표이사) 부친상

■ 김용길 씨 별세, 김광국 씨HD 현대스포츠 대표이사 부친상 = 일,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장례식장 호실, 발인 월 일 오전 시…

#스포츠 , #뉴스1 , 6월 29일